loading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방법 | 20만 원 문화이용권 받고 연극·뮤지컬·전시 무료 관람하는 법

서울청년문화패스
서울청년문화패스

문화생활, 경제적 부담 없이 즐기고 싶다면?

서울에서 거주하는 20~23세 청년이라면, 1년 동안 20만 원의 문화이용권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바로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인데요. 경제적 부담으로 문화생활을 즐기지 못했던 청년들에게 뮤지컬, 클래식, 연극, 국악, 무용, 전시 등 다양한 문화공연을 무료로 관람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군 복무를 마친 제대군인 청년들은 최대 3년까지 연령을 가산하여 지원할 수 있어 더욱 폭넓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기존 수혜자도 재신청이 가능하지만, 올해는 중위소득 120% 이하 신규 신청자가 우선 선발되므로 신청을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청년문화패스의 신청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선정 기준 등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놓치지 말고 끝까지 확인하세요!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란?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에게 연간 20만 원의 문화이용권을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이 지원금은 서울청년문화패스 누리집을 통해 공연·전시 티켓을 예매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 서울청년문화패스를 신청해야 하는 이유

  • 뮤지컬·연극·클래식·국악·무용·전시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 무료 관람 가능
  • 연 20만 원 상당의 문화이용권 지급
  • 문화예술을 경험할 기회 제공
  • 군 복무를 마친 제대군인도 연령 가산 혜택으로 지원 가능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대상 및 선정 기준

서울청년문화패스를 신청하려면 거주 요건과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신청 대상

대상 상세 내용
연령 2002년~2005년생 (20~23세)
거주 요건 서울시 거주자 (주민등록 기준)
소득 기준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
특이사항 의무복무 제대군인 연령 가산 적용 (최대 3년)

기준 중위소득 및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 (2025년)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20% 소득기준표
가구원수 월 소득기준 (120%) 직장가입자 (원) 지역가입자 (원) 혼합 (원)
1인 2,871,000 102,613 22,380
2인 4,720,000 168,410 105,787 170,193
3인 6,031,000 215,933 151,146 219,196
4인 7,318,000 261,360 208,471 266,302
5인 8,530,000 302,462 260,307 311,031
6인 9,678,000 354,964 320,449 369,517
7인 10,787,000 386,684 357,963 407,092
8인 11,895,000 431,294 411,250 461,699
9인 13,003,000 461,699 447,279 506,004
10인 14,112,000 506,004 496,008 552,230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50% 소득기준표
가구원수 월 소득기준 (150%) 직장가입자 (원) 지역가입자 (원) 혼합 (원)
1인 3,589,000 127,230 58,386
2인 5,899,000 210,208 143,648 213,002
3인 7,539,000 271,459 221,206 277,028
4인 9,147,000 330,765 292,298 342,861
5인 10,663,000 386,684 357,963 407,092
6인 12,098,000 431,294 411,250 461,699
7인 13,483,000 506,004 496,008 552,230
8인 14,869,000 552,230 545,970 599,810
9인 16,254,000 599,810 591,277 673,463
10인 17,639,000 673,463 654,281 792,926

참고: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은 가구원수별로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가입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지원 대상자는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여야 합니다. 단, 중위소득 120% 이하 신규 신청자가 우선 선발되므로 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제대군인 연령 가산 혜택 (최대 3년)

군 복무로 인해 문화생활을 즐기기 어려웠던 청년들을 위해, 의무복무 제대군인에게 최대 3년 연령 가산 혜택이 제공됩니다.

복무 기간 연령 가산 혜택 신청 가능 출생연도
1년 이하 1세 가산 2001년생까지 신청 가능
1년~2년 미만 2세 가산 2000년생까지 신청 가능
2년~5년 미만 3세 가산 1999년생까지 신청 가능

제대군인은 반드시 병적증빙서류(병적증명서 또는 병역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를 제출해야 합니다.


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방법

신청 일정 및 절차

단계 일정 방법
신청 기간 2025년 2월 24일(월) ~ 3월 18일(화) 18:00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 온라인 신청
제대군인 서류 제출 신청 기간 내 병적증명서 첨부
선정자 발표 2025년 4월 14일(월) 예정 개별 안내

신청 방법

  1.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 접속
  2.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제출
  3. (제대군인 대상자) 병적증명서 업로드
  4. 선정 결과 발표 확인 후 문화이용권 사용

서울청년문화패스로 이용 가능한 문화 콘텐츠

서울청년문화패스로 예매할 수 있는 공연·전시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세부 내용
연극·뮤지컬 대학로 연극, 대형 뮤지컬 등
클래식·국악 오케스트라, 전통 국악 공연
무용 발레, 현대무용 등
전시·체험 미술 전시회, 박물관 전시 등

📌 유의사항

  • 문화이용권은 서울청년문화패스 누리집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소멸됩니다.

추가 혜택 – ‘디지털 바우처 청년 체험단’ 신청 가능

서울청년문화패스를 신청하면, 디지털화폐 활용성 시범사업인 ‘디지털 바우처 청년 체험단’에도 참여 가능합니다.

디지털 바우처 청년 체험단 혜택

  • 디지털 바우처(예금 토큰) 지급
  • 서울청년문화패스 및 기타 사용처에서 사용 가능
  • 약 500명 내외 선발
  • 2025년 6월까지 시범 운영

📌 신청 시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자동 신청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선착순인가요?

아니요. 신청 기간 내 접수된 신청서를 바탕으로 소득 기준에 따라 선정됩니다.

Q2. 기존 수혜자는 재신청할 수 있나요?

네, 재신청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규 신청자가 우선 선정되므로 기존 수혜자는 후순위 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Q3. 사용하지 않은 문화이용권은 이월되나요?

아니요.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됩니다.

Q4. 제대군인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제대군인은 병적증명서를 제출하면 자동으로 연령 가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청년문화패스,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서울시 거주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표적인 정책입니다. 특히 올해는 중위소득 120% 이하 신규 신청자가 우선 선정되며, 의무복무 제대군인은 최대 3년까지 연령이 가산되는 혜택이 있어 더욱 많은 청년이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서울청년문화패스를 통해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관람하며, 문화생활의 즐거움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학업과 취업 준비로 인해 바쁜 일상을 보내는 청년들에게, 서울청년문화패스는 단순한 혜택이 아니라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20~23세 청년이라면 반드시 신청하세요!

신청 기간은 2025년 2월 24일(월)부터 3월 18일(화) 18:00까지이며, 신청은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접수가 가능합니다.

올해도 많은 청년이 문화예술을 마음껏 즐길 수 있길 바라며, 더 많은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