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병장 월급, 150만 원 돌파!
군대에 가면 ‘돈 못 번다’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되었습니다.
2025년부터는 병장 월급이 무려 1,500,000원까지 인상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등병부터 병장까지 계급별 병사 월급은 물론, 간부 호봉표, 군적금 활용법, 실제 경험담까지 이 글 하나로 완벽 정리해드립니다.
입대 예정자, 부모님, 복무 중 장병, ROTC 준비생 등 모든 분들이 꼭 알아야 할 2025년 최신 군인 월급표, 지금 확인하세요!
2025년 병사 월급표 (이등병~병장)
2025년부터 병사들의 월급이 큰 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병사 계급별 월급입니다.
계급 | 월급 (2025년 기준) |
---|---|
이등병 | 750,000원 |
일병 | 900,000원 |
상병 | 1,200,000원 |
병장 | 1,500,000원 |
※ 월급 외 별도의 수당 포함 시, 병장은 실제로 160~170만 원대 실수령도 가능합니다.
병사 추가 수당 | 위험수당부터 연가보상까지
기본 봉급 외에도 병사들에게는 다양한 수당이 지급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병사 수당 항목입니다.
- 위험지역 수당: GOP, DMZ, 해안, 도서 지역 근무 시 월 +100,000원 이상
- 특수병과 수당: 의무병, 헌병, 특전사 등은 직무에 따라 +50,000~150,000원 추가
- 연가보상비: 미사용 휴가 일수 정산, 전역 시 최대 60만 원 이상
- 성과급성 장려금: 우수병사 포상 시 최대 200,000원 이상 일시 지급
이러한 수당들을 포함하면 병장 기준 월 1,700,000원 이상 수령도 가능합니다.
병사 재테크 핵심: 군적금 & 청년도약계좌 병행
제도 | 내용 | 예상 수령액 |
---|---|---|
장병내일준비적금 | 월 최대 40만 원, 은행+정부 매칭 지원, 비과세 | 전역 시 약 1,000~1,200만 원 |
청년도약계좌 | 중위소득 180% 이하 가입, 최대 월 70만 원 납입 | 5년간 최대 5,000만 원까지 가능 |
※ 두 제도를 병행하면 전역 시 1,5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도 가능합니다. 병사 월급으로 저축 습관까지 들인다면 금상첨화입니다.
병사 월급의 현실적인 쓰임
제가 복무하던 2011년 당시 병장 월급은 12만 원 남짓이었습니다. PX에서 컵라면 사면 끝이었죠. 그런데 제 조카는 2025년 현재 군복무 중인데, 매달 150만 원을 받고 그 중 40만 원을 군적금으로, 30만 원은 스마트폰 요금과 간식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군대에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개념을 몸소 체험하고 있는 것 같아, 세대 차이가 크게 느껴졌습니다.
전역 후에는 적금과 보상금 포함해 1,300만 원 이상을 손에 쥐었다고 하니, 요즘 군대는 경제 교육의 현장이기도 합니다.
2025년 간부 및 부사관 호봉별 월급표
병사 외에도 간부, 부사관, 장교는 호봉제에 따라 급여를 받습니다. 아래는 주요 계급별 1호봉 기준 월급입니다.
계급 | 1호봉 월급 |
---|---|
소장 | 5,892,800원 |
대령 | 4,513,200원 |
중령 | 3,967,000원 |
소령 | 3,268,300원 |
대위 | 2,710,100원 |
중위 | 2,163,900원 |
소위 | 2,017,300원 |
하사 | 2,000,900원 |
※ 상사·원사·준위 등은 직책수당, 특수근무수당 포함 시 월 400~500만 원 이상 수령도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병장 월급 150만 원은 실수령인가요?
A. 세전 금액이지만, 병사는 4대 보험 의무가입자가 아니라 실수령액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Q2. 군적금은 가입 조건이 까다로운가요?
A. 복무 기간 동안만 가입 가능하며, 별도의 자격 제한 없이 대부분 병사 가입 가능. 은행마다 선착순 마감 주의!
Q3. 간부는 호봉에 따라 얼마나 오르나요?
A. 1년 단위로 호봉 상승 시 약 10~20만 원씩 인상되며, 직책·지휘 수당 포함 시 차이가 큽니다.
결론 | 군복무, 이제는 경제적 기회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병사 월급은 이등병 75만 원, 병장 150만 원으로 대폭 인상되었으며, 이는 단순한 급여가 아닌 청년 자산 형성의 시작점이 되고 있습니다.
군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가보상비 등의 복합적 혜택을 고려하면 복무 중 1,500만 원 이상의 자산 형성도 가능합니다.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군 생활 속에서, 이제는 경제적 자립을 시작하는 최고의 발판이 되는 시기입니다.
또한 간부 및 부사관 역시 호봉제 기반 안정적 급여 체계 속에서 근무하며, 가족과 미래를 위한 준비가 가능합니다. 병역은 의무지만, 준비는 선택입니다. 입대 전 미리 월급과 혜택을 정확히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군 복무를 더 의미 있고, 실속 있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군대는 이제 단지 견디는 곳이 아니라, 준비하는 곳입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보다 명확하게 준비할 수 있길 바랍니다.